[종로 큐레이션] 물길 따라, 우물 찾기
지역
정영림
부암동,청운동,삼청동,옥인동,계동
2023-07-20
광화문 앞 복원 현장, 양 갈래로 갈라진 선명한 전차 철로의 자국이 매우 충격적이었다. "땅이 말하고 있는 시대의 아카이브" 라는 말이 기막히게 이해가 되었다.
세월이 흐르며 빠른 변화로 한 세기의 모습도 유지하기 어려운 요즘 세상에, 묵묵히 세월을 간직하고 증거해 주고 있는 땅 밑의 기록들이 그렇게 뭉클할 수 없었고, 또한 역사의 현실감에 묘한 감정이 들었다.

한양의 중심, 종로의 땅 밑 본래의 모습에 관심이 생긴다. 궁궐, 한옥, 미술관, 문인 예술가들의 옛 가옥, 맛집 등 볼거리와 스토리가 가득한 종로이지만, 도로 밑의 원래 모습을 찾아 걸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다.

마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물’이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증명하듯, 경복궁을 중심으로 백운동천과 삼청동천이라는 큰 두 개의 물길이 흘러 청계천으로 합류한다. 백운동천은 백악산 창의문 기슭에서 발원하여 인왕산과 경복궁 서쪽 지역을 따라 흐르고, 삼청동천은 백악산 삼청동 계곡에서 발원하여 경복궁 동쪽 지역을 흘러 두 물길은 청계천에 모이게 된다. 그러니까 효자로, 삼청로는 두 물길을 복개한 도로인 것이다. 또한 물길과 더불어 우물은 옛 사람들에게 주된 음수, 생활용수 공급원이었으므로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위치하고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 백운동천과 삼청동천을 따라 걸으며, 발견할 수 있는 보물 같은 우물 5개를 소개하고자 한다.

백운동천은 청계천 지류 중 가장 긴 물줄기로 그 자취를 찾아보기 위해 자하문(창의문)에서 출발하여, 백운동, 청풍계를 지나 옥류동 계곡에 접어들어 송시열의 글씨가 새겨진 옥류동 각자바위를 보고 조금 내려오면 ‘가재우물’을 만나게 된다. 지금은 우물터 위에 빌라 건물이 지어져 있고 가재우물터는 축대 아래 쇠창살로 가려져 들어가 볼 수 없는 상태이다. 가재우물은 세도가 장동 김씨 좌의정 김상헌이 어머니의 눈병을 고치기 위해 찾아 낸 옥류동의 영험한 샘물이라 하니 이곳의 물이 얼마나 맑고 깨끗했을지 짐작할 수 있을 것 같다. 가재우물이란 명칭은 가재모양이라서 붙은 이름이 아니라 그곳에 살고 있던 노가재 김창업의 호를 따서 붙인 이름이라고 한다.
나머지 4개의 우물은 삼청동천 물줄기에서 만나볼 수 있어, 삼청동천 쪽으로 가보고자 한다.

삼청동 한미뮤지엄 위로 칠보사를 지나 올라가면 거의 끝마을 쯤에 기와로 지붕을 얹은 ‘성제정(성제우물)’을 만나게 된다. 물맛이 좋아 정조의 수라상에 진상한 물이란다. 그런데 플라스틱 물바가지가 놓여 있지만 선뜻 마시고 싶은 생각은 들지 않는 것은..... 삼청동천은 물이 매우 맑고 깨끗한 것으로 유명했다는데......
성제정과 함께 꼭 소개하고 싶은 보물 같은 마을이 있다. 성제정을 조금 내려와 물길 따라 올라가면 천상의 세계가 펼쳐진다. 물이 힘차게 흐르는 계곡 양 옆으로 물 위에 집들이 지어져 있는데 채소와 꽃들을 가득 심어 계곡과 너무나 잘 어우러지도록 환상적인 자연 공간의 마을 만들어 놓았다. 서울에 계곡물 위에 지어진 이런 아름다운 마을이 있다니! 탄성이 나온다. 이 마을에 가수 전인권씨가 산다 하니 역시 아티스트의 감성은 다르다라는 생각이 든다.

삼청동천이 흐르는 삼청동 길을 따라 내려오다 왼쪽에 커피에 반하다 라는 커피숍이 있는 좁은 북촌길로 접어들어 막다른 곳에서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예기치 않은 곳에서 ‘복정우물’을 만나게 된다. 또는 반대 방향인 독립운동가의 길 쪽에서 코리아 목욕탕 굴뚝을 따라 내려와도 된다. “복정은 물이 맑고 맛이 좋아 조선시대 궁중에서만 사용한 우물이다. 평상시에는 뚜껑에 자물쇠를 채우고 군인들이 지키며 일반인이 사용하지 못하게 했으나 대보름에는 일반인도 물을 길을 수 있게 하였다”라는 푯말이 있다. 제법 규모도 있고 물도 많은데 음용은 안되는 것 같다. 복정우물 바로 옆에 코리아 사우나가 있는데 우물과 사우나의 상호 매치가 그럴 듯해 보였고 사우나 사장님의 혜안에 미소가 번진다.

복정우물을 보고 국립현대미술관에 도착하여 교육동과 전시동 사이에 종친부 표시를 따라 들어가면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건물이 멋지게 다가선다. 경근당 왼쪽 잔디밭에 ‘종친부 터 우물’이 놓여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우물은 조선시대 종친부에서 사용했던 것이며, 두 개의 타원형 갓돌로 만들어졌다. 우물 갓돌의 네모형 괴임대는 동서남북을 표시하며, 물동이를 놓기도 하고 정수를 떠 놓고 소원을 기원했던 자리이다.”라는 안내문이 있다.
이 우물은 원래의 형태가 아니고 기무사 뜰 공사 도중 발견하여 원래의 위치에 옮겨 새로 조성한 것으로 윗부분만 옮겨 놓은 원형을 잃어버린 죽은 우물이다. 우물 원형 안에 잡초와 돌들만 가득해서 안내문을 읽기 전까지는 이것이 우물인지 전혀 알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다.

마지막 우물을 찾아 계동길로 간다. 영화나 드라마에 자주 나오는 북촌마을의 랜드마크 격인 중앙고등학교에서 조금 내려오다 보면 바로 왼편에서 생뚱맞게 커다란 우물을 만나게 된다. 상점들과 한옥 게스트하우스들이 즐비한 좁은 계동길에 왠 우물? ‘석정보름우물’이다 그동안 소개한 우물들과는 달리 5단으로 높게 쌓아 올려 매우 크게 만든 우물이 상점들 사이에 떡 하니 자리잡고 있다.
“석정보름우물은 15일 동안은 맑고, 15일 동안은 흐려진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외국인 주문모 신부가 조선 땅에서 첫 미사를 봉헌할 때 이 우물로 세례를 주었고, 한국인 최초의 신부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도 이 물을 성수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주교 박해로 많은 순교자가 발생하자 갑자기 물맛이 써져서 한동안 사용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는 설명 글이 있다.
계동길도 물길을 도로로 복개한 것임을 석정보름우물이 알려주는 듯하다.

역사, 문화적 유적지와 스토리가 가장 많고 볼거리, 먹을거리가 풍부한 종로의 이야기를 땅 밑 ‘물길이 전하는 아카이브’로 풀어보며 산책해 보는 것도 색다른 경험이 되지 않을까?

1. 백운동천 & 가재우물
2. 성제정 & 계곡 마을
3. 복정 우물
4. 종친부 터 우물
5. 석정보름 우물